SDT, GS칼텍스와 손잡고 서버용 액침냉각 시스템 선봬

넥스트라이즈 2024서 AI 데이터센터용 열관리 제품 및 산업용 계측장비 소개
“ESG와 디지털트랜스포메이션 잇는 산업 생태계 구축에 선도적 역할 담당할 것”

 

[더테크=조재호 기자] 산업DX 솔루션 및 양자표준기술 전문기업 SDT가 오는 13일부터 14일까지 양일간 서울 강남구 코엑스에서 열리는 국내 최대규모 스타트업 박람회 ‘넥스트라이즈 2024 서울’에 참가해 서버용 액침냉각 시장을 겨냥한 신제품을 공개한다고 7일 밝혔다.

 

SDT는 이번 행사를 통해 서버용 액침냉각 시스템 ‘아쿠아렉’을 선보인다. 아쿠아렉은 GS칼텍스가 개발한 액침냉각유 ‘킥스 이머전 플루이드 S 5’를 기반으로 개발됐다. 미국보건재단인 NSF 식품등급 인증과 생분해성을 보유한 냉각유를 활용해 인체 및 자연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하고 우수한 에너지효율과 수명, 소재 호환성을 지녔다.

 

액침냉각은 전자장비를 비전도성 액체에 담가 식히는 기술이다. 최근 AI 데이터센터의 서버나 배터리 수요 증가와 함께 열관리 시장이 떠오르는 가운데 기존 공랭식 냉각 시스템 기반 데이터센터의 문제를 해결할 솔루션으로 주목받고 있다. 글로벌 리서치 기업 마켓츠마켓츠에 따르면 글로벌 액침냉각 시장 규모는 2030년 2조3000억원까지 성장할 것으로 전망했다.

 

회사는 서버용 액침냉각 시스템을 통해 수요가 폭발적으로 증가하는 AI 데이터센터의 열효율 향상 및 공간 절약, 전력 소모 절감 효과와 함께 ESG 경영을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아쿠아렉과 더불어 비파괴 원소 분석 장비 LIBS(Laser Induced Breakdown Spectroscopy)도 함께 선보인다. LIBS는 분석시료 표면에 레이저 펄스를 쏴 플라즈마를 읽어내는 방식으로 제조공정에서 불순물이나 용접 불량 검출, 통관 전 유독물 함량 수준 확인, 재활용 소재 가격 산정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장비다.

 

실험실 수준의 높은 정확성을 기반으로 다량의 원소분석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확인할 수 있다. 다른 원소분석 기술 대비 빠른 속도를 지녔으며 고체, 액체, 에어로졸 등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화력발전소나 원자력 발전소, 배터리 셀 제조, 폐배터리 리사이클, 반도체, 정유, 제약, 식품 등과 다양한 산업시설에서의 활용이 기대된다.

 

윤지원 SDT 대표는 “넥스트라이즈 2024 서울 참가를 계기로 액침냉각을 비롯해 새로운 시장으로의 진입을 위한 발판이 마련되길 기대한다”며, “당사의 독보적 기술력을 토대로 ESG와 디지털 트랜스포메이션(DX)을 잇는 산업 생태계 구축에 선도적 역할을 담당하는 기업으로 자리매김해 나갈 것”이라고 밝혔다.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