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료연, 고효율‧고수명 에너지 저장장치용 집전체 개발

이차전지, 슈퍼캐패시터 등에 적용
“집전체의 활용 가치 높일 것으로 기대”

 

[더테크=조명의 기자] 한국재료연구원(KIMS, 이하 재료연) 그린수소재료연구실 이지훈 박사 연구팀이 3차원 다공성 탄소계 집전체 소재를 개발했다. 최인석 서울대 교수, 신중호 강릉원주대 교수 연구팀과 함께 이룬 성과다. 

 

재료연은 이같은 내용을 7일 발표했다. 이차전지와 슈퍼커패시터에 적용 에너지 밀도와 수명 특성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기술이다. 

 

집전체는 박막 극판 제조에 중요한 요소다. 하지만 전극 무게와 부피의 상당 부분을 차지해 에너지 밀도 향상과 에너지 저장장치 경량화에 제한적이다. 특히 전기차 등 중대형 전기화학적 에너지 저장장치가 적용되는 분야에서 이는 더욱 두드러진다.

 

또한 반복적인 충방전 과정에서 활물질이 분리되거나 전지 내 수분과 공기 유입으로 인한 기존 금속 집전체의 부식 문제는 전지 수명을 단축하는 원인이다.

 

연구팀은 다양한 환경에서도 안정적인 탄소를 대상으로 부유 촉매 화학 기상 증착법을 적용해 3차원 다공성 구조의 탄소계 집전체를 제작했다. 이후 이차전지 산업에서 활용 중인 활물질 코팅 방식을 적용해 전극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동안 전해질과 작동 전압 등 환경변화에 따라 집전체 소재를 변경 및 적용해야 했던 기존의 제약 요소를 극복한 것이다.

 

 

다공성 구조는 리튬 이온의 이동을 원활하게 만들어 보다 빠른 충방전과 에너지 밀도 향상, 넓은 기공을 통한 용량 증가를 실현했다. 기존 금속 포일이 2차원 평면 구조로 활물질과의 계면 접촉 면적이 제한적이었던데 비해, 개발한 3차원 탄소계 집전체는 해당 면적을 극대화해 안정적인 계면을 형성하고 장치 수명을 개선했다.  

 

이지훈 선임연구원은 “소재의 본질적인 부분에서 기인한 문제점을 해결해, 탄소계 기반 집전체의 상용화 진입 장벽을 낮추고 소형부터 중대형 에너지 저장장치까지 아우를 수 있는 집전체의 활용 가치를 높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재료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 ‘에이씨에스 어플라이드 머티리얼즈 앤 인터페이시즈(ACS Applied Materials & Interfaces, IF=10.383)’에 5월 18일자 표지논문으로 선정 및 게재됐다.

 


관련기사

16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