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전수연 기자] 네이버클라우드가 국내 기업과 함께 초거대 AI의 글로벌 확대를 위한 협의회에 참여한다. 네이버클라우드는 29일 네이버 1784에서 개최된 ‘초거대 AI 추진협의회’ 발족식에 공동회장사로 참여했다. 이와 관련 네이버클라우드 관계자는 <더테크>에 “KOSA의 주도로 협의회가 설립됐다. 네이버클라우드는 최근 초거대 AI 기술을 개발하고 있기 때문에 참여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초거대 AI 추진협의회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이하 KOSA)가 국내 기업이 빠르게 변하는 AI 산업 환경에 유기적으로 대응하고 전략적인 협력 강화를 위해 산하기구로 출범시킨 협의체다. 이번 협의회에는 초거대 AI 엔진을 보유한 빅테크 기업 외에도 IT 서비스, AI 벤처, AI 강소기업 등 국내 105개 기업이 회원사로 참여했다. 네이버클라우드와 LG AI 연구원은 지난 4월 KOSA가 개최한 발기인 회의에서 공동 회장사로 추대된 바 있다. 협의회는 △초거대 AI 개발을 위한 기반 강화 활동 △초거대 AI를 활용한 응용서비스 창출 과 시장 확대 △원활한 사업추진을 위한 규제개선과 공론화 등 초대규모 AI 경쟁력 강화를 위한 활동에 나설 계획이다. 이와
[더테크=전수연 기자] 데이터베이스 플랫폼 몽고DB(MongoDB)가 생성형 AI 및 시맨틱 검색(정확한 검색 결과를 위한 기술) 도입을 간소화하는 기능과 제품을 공개했다. 몽고DB는 연례 개발자 행사 ‘몽고DB 로컬 뉴욕(MongoDB local NYC)’에서 기업이 최신 애플리케이션을 빠르게 구축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제품·기능·파트너십을 29일 발표했다. 이번 행사에서 발표된 주요 내용은 △AI 이니셔티브 출범을 위한 구글 클라우드와의 파트너십 및 새로운 AI 이노베이터 프로그램 공개 △애플리케이션의 생성형 AI 및 시맨틱 검색 도입을 간소화하는 벡터 검색 기능을 포함한 몽고DB·몽고DB 아틀라스의 신제품과 기능 △몽고DB 아틀라스 포 인더스트리 및 몽고DB 아틀라스 포 파이낸셜 서비스 출시 △몽고DB 릴레이셔널 마이그레이터의 정식 출시 등이다. 데브 이티체리아(Dev Ittycheria) 몽고DB CEO는 “몽고DB 아틀라스의 새 기능은 고객 피드백을 반영한 것”이라며 “고객이 비즈니스 전환을 위해 소프트웨어와 데이터의 힘으로 선진적인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하도록 도울 예정”이라고 말했다. 몽고DB는 개발자의 생성형 AI 활용 가속화와 신규 애플리케이션
[더테크=전수연 기자] 삼성전자가 젊은 세대를 겨냥한 플래그십 스토어를 공개했다. 삼성전자는 체험형 플래그십 스토어 ‘삼성 강남’을 29일 오픈했다. 삼성 강남은 서울 강남대로 중심 상권에 위치, 총 6개 층 규모로 구성됐다. 이와 관련 삼성전자 관계자는 <더테크>에 “젊은 인구가 많이 방문하는 강남 중심에 체험을 위주로 소통할 수 있는 매장을 몇 년 전부터 계획하고 있었다”며 오픈 계기를 밝혔다. 삼성 강남은 소비자가 제품을 경험하고 자유롭게 즐길 수 있는 플레이그라운드 콘셉트를 도입했다. 우선 ‘인스토어 모드(In Store Mode)’는 방문객이 스토어 내 사이니지에 있는 QR코드를 스캔하면 자신의 스마트폰을 통해 층별 안내와 참여할 수 있는 이벤트 등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온오프라인 통합 경험 솔루션이다. 또한 2층에는 삼성전자 제품 체험이 가능한 ‘리테일 도슨트’ 부스가 마련됐다. 방문객은 원하는 제품을 선택해 영상으로 설명을 듣고, 진열되지 않은 제품의 스펙도 비교할 수 있다. 3층에는 생활가전 제품을 가상으로 체험해 보는 ‘비스포크 홈메타(Bespoke Home Meta)’ 부스가 마련됐다. 방문객은 자신의 집과 비슷한 구조의 3D
[더테크=전수연 기자] 아마존웹서비스(Amazon Web Services, 이하 AWS)가 최근 가장 큰 이슈인 생성형 AI의 효율적인 구축을 지원하는 프로그램 ‘AWS 생성형 AI 혁신 센터’ 를 선보였다. AWS는 사용자의 생성형 AI 솔루션 구축·구현을 지원하는 새로운 프로그램 ‘AWS 생성형 AI 혁신 센터’를 28일 발표했다. AWS는 생성형 AI 혁신 센터 프로그램에 미화 1억 달러를 투자하고, 자사 AI, 머신러닝 전문가를 전 세계 사용자와 연결해 새로운 생성형 AI 제품과 서비스, 프로세스 구상·설계·출시를 지원할 예정이다. 이 프로그램은 AWS가 지속해 온 AI 기술 개발 투자를 기반으로, 생성형 AI 기술을 제공하기 위한 종합적인 전략 중 하나로 볼 수 있다. 이와 관련 AWS 관계자는 <더테크>에 “이번 혁신 센터는 고객에게 경제적, 기술적, 인적 지원까지 총체적으로 제공해 생성형 AI 기술 기반 제품, 서비스, 프로세스를 더욱 쉽게 출시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라며 “구체적으로 고객이 비즈니스 전반에 생성형 AI를 실험하고 활용할 수 있도록 도울 수 있다. 이를 통해 기반 및 대형 언어 모델의 정확도를 향상 시키며, 사용자
[더테크=전수연 기자] 한국전력(이하 한전)은 올 여름 폭염에 따른 전력수요 급증에 대비해 전력수급 비상대응 체계를 확립했다고 28일 밝혔다. 전력수급 대책기간은 전년 대비 2주간 연장돼 6월 26일부터 9월 15일까지 12주간 운영된다. 한전은 지난 27일 본사 재난종합상황실에서 전국 15개 지역본부가 동시 참여하는 ‘전력수급비상 모의훈련’을 시행했다. 이번 훈련은 발전설비 고장 등 예기치 못한 수급상황 발생 시 비상단계별 예비력 추가 확보방안 및 대국민·언론·유관기관과 상황전과 시스템을 확인해 수급비상 대응 능력을 점검하는 것으로 이뤄졌다. 한전은 전력설비 점검 및 보강에도 나섰다. 집중호우를 대비해 저지대에 위치한 변전소·전력구 등을 대상으로 침수방지시설 특별점검을 실시해 보강하고, 산사태에 취약한 철탑부지를 점검했다. 이와 함께 한전은 지역 배전설비에 대해 수목전지 작업을 시행하고, 전선, 철탑간 접촉고장 방지장치를 설치해 솔배전설비에 대한 사전보강 작업으로 태풍 피해 예방 작업을 마쳤다. 또한 노후, 과열 우려 송변전 설비에 관해 열화상 진단으로 폭염 피해 예방조치를 시행했다. 한전은 공동주택 특별 관리 차원에서 고객 자체 변압기를 보유한 아파트단지
[더테크=전수연 기자] 일본 정부가 한국을 수출 심사 우대국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했다. 한일 수출규제 현안이 4년 만에 완전히 해소된 것이다. 27일 산업통상자원부(이하 산자부)에 따르면 일본 정부는 이날 우리나라를 일본 수출무역관리령 별표 제3의 국가(그룹 A, 속칭 화이트리스트)에 추가하는 개정안을 각의에서 의결했다. 개정안은 오는 30일 공포를 거쳐 7월 21일부터 시행된다. 양국은 지난 3월 수출규제 현안 관련 공동메시지 발표 이후, 제9·10차 수출관리 정책대화를 개최해 일측 3개 품목 수출규제 해제 등 원상회복을 위한 조치를 추진해 왔다. 우리나라가 일본 화이트리스트에 재지정되면 일본에서 우리나라로 전략물자 수출 시 ‘일반포괄허가’가 가능해진다. 이로써 신청자격과 요건이 완화되는 등 양국 기업에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화이트리스트 재지정 기대효과로 일반포괄허가가 가능해지면서 CP기업(일정 수준 이상의 수출관리를 이행한다고 인정받아 자격을 얻은 기업)이 아닌 일반기업도 허가된다. 또한 캐치올통제(수출통제 대상이 아닌 품목 경우에도 수출허가를 받고 수출해야 하는 제도) 적용도 해제된다. 산자부는 “앞으로도 이를 바탕으로 다양한 양자 및 다자 수출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가 최근 보안 전문인재 육성 및 사이버 보안 전문가 영입 등의 사내 보안 체계 구축을 행보를 이어가고 있는 가운데 이번에는 경영진들을 대상으로 한 보안 특강에 나섰다. 유플러스는 이기주 김앤장 정보보호연구소장을 초청해 경영진 대상 특강을 진행했다고 27일 밝혔다. 이날 특강에는 유플러스 황현식 CEO와 최근 선임된 홍관희 CISO(최고 정보보호책임자)를 비롯한 20여 명의 경영진이 자리했다. 이기주 소장은 경영진들과 ‘사이버 시큐리티’ 주제로 △정보보호 △개인정보보호 △재난과 기술 결함으로 인한 서비스 장애에 관해 정책·경영 측면에서 대응 방향성을 공유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와 관련 유플러스 관계자는 <더테크>에 "요즘 주목받는 생성형AI와 챗GPT로 인한 보안문제도 들여다봤다. 가령 챗GPT가 특정 기업의 보안 구조를 알려준다거나 기업 정보를 공개할 수도 있다"며 "이런 것들을 충분히 숙지하고 어떻게 해법을 모색해 나갈지 살폈다"고 설명했다. 이날 경영진들은 글로벌 기업과 전문 보안 업체를 아우르는 시장 현황과 9월부터 시행되는 개인정보보호법 시행령 개정안 등에 대한 주요 내용을 검토했다. 이와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전자가 美 교육 기술 컨퍼런스에 참가해 IT기기를 활용한 맞춤형 교육 모델을 제시한다. LG전자는 지난달 ‘LG 구글 미래교실’을 진행하는 등 에듀테크 사업에 적극적인 행보를 보이고 있다. LG전자는 오는 28일까지 미국 필라델피아에서 열리는 교육 기술 컨퍼런스 ‘ISTE 2023(International Society for Technology in Education, 이하 ISTE)’에 참가한다고 27일 밝혔다. LG전자 관계자는 <더테크>에 “노트북, 로봇, 전자칠판 등 자사 제품들이 교육에 활용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이런 제품을 함께 모아 구성했을 때 현장에서 시너지가 나기 때문”이라며 에듀테크 시장 진출 계기를 설명했다. LG전자는 글로벌 에듀테크 시장 공략을 위해 △최대 40곳의 멀티 터치를 지원하는 전자칠판 △원격 수업과 그룹 토론에 적합한 이동식 디스플레이 원퀵 △강당 등에 적합한 LED 올인원 사이니지 △코딩 프로그램으로 제어가 가능한 클로이(CLOi) 가이드봇 △4K 해상도를 지원하는 프로빔(ProBeam) 프로젝터 △태블릿 PC 울트라 탭 △교육용 노트북 크롬북(Chromebook) 등 IT 기기 간
[더테크=전수연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가 클라우드와 AI반도체의 글로벌 경쟁력 강화를 위해 대규모 프로젝트를 진행한다. 과기정통부는 26일 판교 NHN클라우드에서 ‘K-클라우드 프로젝트’ 1단계 착수보고회를 가졌다. K-클라우드 프로젝트는 높은 수준의 초고속·저전력 국산 AI 반도체를 개발하고 데이터센터에 적용해 국내 클라우드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정책이다. 이에 앞서 정부는 지난해 12월 ‘국산 AI반도체를 활용한 K-클라우드 추진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정부는 이번 프로젝트를 통해 올해부터 국산 NPU 데이터센터 구축사업에 착수하고, 국산 AI반도체를 클라우드 데이터센터에 적용해 레퍼런스를 조기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 이번 사업에는 클라우드 기업과 AI반도체 기업이 참여한다. 국내 클라우드 기업 가운데 NHN클라우드는 민간과 공공 부문 각각 11PF(PF: Peta-FLOPs, 1초당 1000조번의 부동소수점급 연산 실행으로 연산 성능을 나타내는 단위), 총 22PF 이상 규모의 국산 AI반도체 기반 데이터센터를 구축한다는 계획을 발표했다. 이를 통해 국산 NPU 지원 플랫폼 개발과 클라우드 상품화로 활용도를 모색할 예정이다.
[더테크=전수연 기자] KT에스테이트가 신속하게 건물 안전을 관리하는 클라우드 방식의 관제 솔루션을 통해 안전사고 예방과 에너지절감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인다. KT그룹의 종합부동산기업 KT에스테이트는 자체 개발한 스마트 통합관제서비스를 통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로부터 ‘디지털서비스-융합서비스(서비스명: kte Cloud BEMS&스마트통합관제서비스, 이하 스마트통합관제서비스)’ 공급자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디지털서비스 공급자 선정은 공공기관이 신속한 클라우드 서비스 도입을 위해 경쟁입찰방식이 아닌 수의계약 또는 카달로그 계약 진행이 가능하도록 행정절차를 간소화한 시스템이다. 이 시스템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 등 관계부처 전문가들로 이뤄진 심사위원회 심사를 거쳐 선정된 공급자만 서비스 등록이 가능하다. BEMS(Building Energy Management System)는 건물에너지관리 시스템으로, 빌딩의 에너지와 안전을 관리하는 서비스다. KT에스테이트는 건물에너지관리 서비스 최초로 디지털서비스-융합서비스에 등록됐다. 이와 관련 KT에스테이트 관계자는 <더테크>에 “BEMS는 에너지를 관리하는 솔루션인데 기존에는 개별 건물마다 설치해야
[더테크=전수연 기자] 메타버스의 구현 방향성이 달라지고 있다는 걸 체감할 수 있었다. 아주 명확한 '타깃 이용자'를 대상으로 겨냥한 두 개의 서비스를 선보인 LG유플러스(이하 유플러스) 이야기다. 게임 혹은 유저간 소통을 위주로 했던 메타버스와는 얼마나 다를지 시연회 현장에 도착하기 전부터 기대됐다. 유플러스는 23일 서울 종로구 ‘회의실by필원’에서 메타버스 서비스 '키즈토피아'와 '메타슬랩'을 시연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미래 기술을 활용한 가치제공 플랫폼Web3.0의 일환. 키즈토피아는 이름 그대로 어린이들을 대상으로 한 특화 메타버스이고, 메타슬랩은 직장인들을 대상으로 한 가상 오피스 서비스다. 유플러스의 새로운 서비스를 직접 확인하기 위해 취재진들은 일찌감치 행사장에 모였다. 영상이 시작되자 일부 취재진들은 본인이 갖고있던 스마트폰을 번쩍 들어 영상 혹은 사진을 촬영하는 모습도 보였다. 원선관 메타버스 프로젝트팀장이 ‘키즈토피아(KidsTopia)’의 주요 기능을 소개하는 것으로 시연회가 시작됐다. 원 팀장은 “키즈토피아의 기본 컨셉은 메인광장에서 체험공간으로 이동하면서 학습 퀴즈와 미션을 통해 다른 친구들과 재밌게 노는 것"이라며 "나의 개성을 나
[더테크=전수연 기자] LG유플러스가 23일 서울 종로구 ‘회의실by필원’에서 새로운 메타버스 서비스인 ‘키즈토피아’와 ‘메타슬랩’을 시연하는 행사를 개최했다. 메타버스는 ‘유플러스 3.0’의 핵심 플랫폼 중 하나로서 ‘키즈토피아’는 어린이에 특화됐으며 ‘메타슬랩’은 직장인을 위한 가상오피스 서비스다. 사진은 취재진에게 공개된 키즈토피아 시연영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