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 CNS, 나주에 스마트팜 플랫폼 구축

지능화 플랫폼 서비스 통해 농업 생산량 늘리고 고품질 농작물 확보
“스마트팜 구축 레퍼런스 기반으로 관련 서비스 사업 확장할 것”

 

[더테크=조재호 기자] LG CNS가 지능화 플랫폼 기반의 스마트팜을 조성하고 레퍼런스 축적을 시작했다.

 

LG CNS는 전라남도 나주시에 ‘첨단 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지능화 플랫폼’ 구축을 완료하고 서비스에 나섰다고 13일 밝혔다.

 

전라남도와 농림축산식품부는 지난 2022년부터 첨단 무인자동화 농업생산 시범단지 지능화 플랫폼’ 사업을 추진해왔다. 해당 사업은 AI, 빅데이터, 사물인터넷(IoT) 등 IT를 통해 농작물을 관리하는 차세대 농장을 연구·개발하는 내용이다.

 

이번 사업에서 LG CNS는 스마트팜의 두뇌 역할을 하는 ‘지능화 플랫폼’을 구현했다. 이 플랫폼은 △데이터 기반 지능형 서비스 △생산량 및 가격 예측 △무인 농기계 관제 등 3대 서비스를 제공한다.

 

데이터 기반 지능형 서비스는 토양·기상·병해충 발생 등 농사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AI로 분석해 최적의 농사 가이드를 제시한다. AI 이미지 센서와 레이저, 스피커 등을 장착한 디지털 허수아비나 병해충 여부 및 추이를 확인할 수 있는 디지털 트랩 등을 활용해 외부 피해도 예측한다.

 

생산량 및 가격 예측은 농가의 안정적인 소득 창출을 돕는다. 지금까지 예측은 CCTV, 드론 등에서 수집한 이미지와 영상을 기반으로 전문가들의 분석과 예측을 활용한 방식이었다. LG CNS의 생산량 예측 모델은 과거 축적된 지역의 기상 데이터 및 수확 시기에 따른 장·단기 가격 예측 모델을 더해 작물 종류와 파종일 등 기본 정보를 입력하면 이를 추정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현했다.

 

무인 트랙터, 드론, 이앙기 등 다양한 무인 농기계를 원격으로 관리할 수 있다. 연료 잔량과 고장 여부 등 상태를 한눈에 확인하고 날짜와 시간대별 작업 스케줄 관리를 할 수 있다.

 

LG CNS는 자체 스마트시티 플랫폼 ‘시티허브’를 기반으로 지능화 플랫폼을 구축했다. 데이터 수집은 IoT 플랫폼 인피오티(INFioT)가 분석과 예측에는 AI·빅데이터 플랫폼 디에이피 엠엘디엘(DAP MLDL)을 적용했다.

 

이번 나주시 스마트팜은 전라남도 농업기술원과 전라남도 종자관리소에서 시범 운영한다. LG CNS는 이번 사업의 레퍼런스를 기반으로 스마트팜 적용을 확대한다는 계획이다.

 

이준호 LG CNS 스마트물류&시티사업부장은 “LG CNS의 DX 역량을 결집한 ‘지능화 플랫폼’을 통해 노지형 스마트팜의 초석을 마련할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스마트팜을 비롯한 스마트시티 서비스 사업을 적극 추진해 차별적 고객 경험을 제공하겠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2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