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테크 서명수 기자] AX 전문기업 LG CNS가 25일 에이전틱 AI 설계·구축·운영·관리까지 전 주기 지원하는 풀스택 플랫폼 ‘에이전틱웍스’를 공식 공개했다. 현신균 LG CNS 대표는 “에이전틱 AI는 단순 반복 업무를 넘어 전 과정에서 능동적으로 분석·조율하며 의사결정을 지원해 직원들이 창의적 업무에 집중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든다”며 “기업의 생산성을 비약적으로 끌어올려 산업 경쟁 판도를 바꾸게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 국내 최초 풀스택 에이전틱 AI 플랫폼 ‘에이전틱웍스’ LG CNS가 발표한 에이전틱웍스는 AI 서비스 설계부터 구축·운영·관리까지 지원하는 국내 유일 6종 모듈형 풀스택 플랫폼이다. 기업 전체 업무 흐름을 분석해 맞춤형 AI 에이전트를 통합 관리함으로써 생산성과 효율성을 극대화한다. 이 플랫폼은 △코딩 기반 ‘빌더(Builder)’ △노코드 개발환경 ‘스튜디오(Studio)’ △데이터 전처리를 돕는 ‘지식저장소(Knowledge Lake)’ △AI와 기업 시스템 연동을 위한 ‘허브(Hub)’ △산업별 특화 모델 고도화 ‘리파이너(Refiner)’ △AI 모델 자동 선택 ‘라우터(Router)’로 구성된다. 예컨대 인사 업무에 적용하면 수만 건의 지원자 데이터와 기존 문서를 분석해 적합 인재를 추천하고 면접 질문까지 자동 생성, 업무 효율을 약 26% 개선할 수 있다. 또한 재무 분야에서는 사업비 변동 감지, 리스크 관리, 타사 재무제표 분석을 통한 전략 수립까지 지원한다. LG CNS는 자체 AI 보안솔루션 ‘시큐엑스퍼 AI’를 적용해 민감정보 유출 방지, 이상징후 탐지, 자동 대응 체계까지 강화했으며, MCP(Model Context Protocol) 및 A2A(Agent to Agent) 연동 기술로 ERP·CRM 등 기존 시스템과도 손쉽게 연결할 수 있도록 했다. ■ 직원경험 혁신 서비스 ‘에이엑스씽크(a:xink)’ LG CNS는 또 하나의 핵심 서비스로 직원 업무혁신 AI '에이엑스씽크’도 선보였다. ‘AX(AI 전환) + EX(직원경험) + Think(사고)’의 의미를 담은 이 서비스는 메일·일정·회의·번역 등 공통 업무를 즉시 AI로 전환해 활용할 수 있도록 한다. 주요 기능으로는 △중요 메일·일정 요약 후 음성 안내, 자동 회의록 작성·통번역, 보고서 자동 작성, 개인화된 맞춤형 업무 지원 등이 있다. 예컨대 “회의록 기반 출장 품의 작성 후 주간보고에 반영해줘”라고 요청하면, 에이전틱 AI가 그룹웨어·ERP 등과 연계해 자동 처리한다. LG디스플레이는 이미 이 서비스를 도입해 업무 생산성을 약 10% 향상시키고, 연간 100억 원 이상의 비용 절감 효과를 거둔 것으로 알려졌다. 향후 3년 내 생산성을 30% 이상 높이는 것이 목표다. LG CNS는 이번 플랫폼과 서비스를 국내뿐 아니라 해외 시장에도 순차적으로 제공할 계획이다. 현 대표는 “AX 전문기업으로서 고객의 AI 전환 전 과정을 함께 만들어가며 No.1 AX Enabler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SK하이닉스가 현존 최고 집적도 QLC 제품 개발을 완료하고 세계 최초로 321단 QLC 낸드 양산에 돌입했다. SK하이닉스가 321단 2Tb(테라비트) QLC 낸드 플래시 개발을 완료하고 양산에 돌입한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제품은 세계 최초로 300단 이상의 낸드를 QLC 방식으로 구현한 사례로, 업계 기술 한계를 다시 한번 뛰어넘었다는 평가다. 낸드플래시는 한 셀(Cell)에 저장되는 비트 수에 따라 ▲SLC(1비트) ▲MLC(2비트) ▲TLC(3비트) ▲QLC(4비트) ▲PLC(5비트) 등으로 구분된다. 셀당 저장 용량이 많아질수록 같은 면적에 더 많은 데이터를 담을 수 있지만, 속도 저하와 관리 복잡성이 커지는 한계가 따른다. SK하이닉스는 이번 신제품을 기존 대비 2배 확대한 2Tb 용량으로 개발했으며, 성능 저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낸드 내부의 독립 동작 단위인 ‘플레인(Plane)’을 기존 4개에서 6개로 늘려 병렬 처리 능력을 강화했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 속도는 이전 QLC 제품 대비 2배 향상됐으며, 쓰기 성능은 최대 56%, 읽기 성능은 18% 개선됐다. 또 데이터 쓰기 전력 효율도 23% 이상 높아져 전력 소모가 중요한 AI 데이터센터에서도 경쟁력을 확보했다. 회사는 우선 PC용 SSD에 321단 낸드를 적용한 뒤, 데이터센터용 eSSD와 스마트폰용 UFS 등으로 확대 적용할 계획이다. 특히 독자적인 32단 적층 패키징 기술을 활용해 초고용량 AI 서버용 eSSD 시장까지 적극 공략한다는 전략이다. 정우표 SK하이닉스 부사장(NAND개발 담당)은 “이번 제품 양산으로 고용량 제품 포트폴리오를 강화하고 가격 경쟁력까지 확보하게 됐다”며, “폭발적으로 성장하는 AI와 데이터센터 시장의 고성능 수요에 맞춰 풀스택 AI 메모리 프로바이더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더테크 서명수 기자] 정부가 내년 국가 국가 연구개발(R&D) 예산을 35조 3천억 원으로 역대 최대 규모로 확정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2일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전원회의에서 '2026년도 국가연구개발사업 예산 배분·조정안'을 심의·의결했다고 밝혔다. 이번 예산안은 이재명 정부의 첫 R&D 예산으로, 국회 심의를 거쳐 최종 확정된다. 정부는 이번 예산을 기술주도 성장과 모두의 성장 두 축으로 편성했다. 인공지능(AI) 분야에는 2조 3천억 원(+106.1%)을 투입해 차세대 범용 AI, 저전력 AI, 물리 AI 등 핵심 기술 개발과 AI 반도체 국산화를 추진한다. 에너지 분야에는 2조 6천억 원(+19.1%)을 배정해 초고효율 태양전지, 대형 풍력 시스템, 소형모듈원자로(SMR), 차세대 전력망과 에너지 저장장치(ESS) 개발을 지원한다. 전략기술 분야에는 8조 5천억 원(+29.9%)을 투입해 양자컴퓨팅·합성생물학 등 원천기술 선점, AI 반도체·양자내성암호 같은 공급망 핵심기술 내재화, 자율주행·휴머노이드 로봇 상용화 등을 뒷받침한다. 방위산업에는 3조 9천억 원(+25.3%)을 투입해 K-9 자주포, 천궁 성능 고도화, 차세대 전투기(KF-21), 첨단 항공엔진 국산화 연구를 지원한다. 중소벤처 혁신에는 3조 4천억 원(+39.3%)이 배정돼 민간투자 연계형 연구개발, 혁신조달·구매연계형 연구개발 등 기업 성장 지원이 강화된다. 기초연구(3조 4천억 원, +14.6%), 인력양성(1조 3천억 원, +35.0%), 출연연구기관 혁신(4조 원, +17.1%), 지역균형(1조 1천억 원, +54.8%), 재난안전(2조 4천억 원, +14.2%) 분야도 투자가 확대된다. 배경훈 과기정통부 장관은 “이번 예산은 연구생태계의 완전한 복원과 ‘진짜 성장’을 위한 파격적 확대”라며 “안정적이고 예측 가능한 투자체계를 마련해 과학기술계와 함께 지속 가능한 연구 생태계를 확립하겠다”고 말했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HD현대 정기선 수석부회장이 테라파워의 빌 게이츠 창업자 겸 회장과 만나 차세대 원자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HD현대는 22일 정 수석부회장이 게이츠 회장 및 테라파워 경영진과 회동을 갖고 ‘나트륨(Natrium) 원자로’의 공급망 확대와 상업화 추진 상황을 점검했다고 밝혔다. 이번 만남은 지난 3월 미국에서의 첫 회동 이후 5개월 만이다. 당시 양사는 나트륨 원자로 상업화를 위한 제조 공급망 확장 관련 업무협약(MOU)을 체결한 바 있다. 테라파워가 개발한 나트륨 원자로는 소듐냉각고속로(SFR) 방식의 4세대 소형모듈원자로(SMR)로, 에너지 저장 기능과 높은 열효율, 우수한 안전성을 갖췄다. 특히 기존 원자로 대비 핵폐기물 발생량이 약 40% 적어 현존하는 SMR 중 기술적 완성도가 가장 높다는 평가를 받는다. HD현대는 보유한 SMR 기술 및 제조 역량을 기반으로 테라파워에 원자로 용기를 공급할 계획이다. 또한 양사는 기존 MOU를 토대로 글로벌 상용화를 위한 공급망 확대 방안도 모색하고 있다. 정기선 수석부회장은 “차세대 SMR 기술은 지속가능한 미래 에너지의 핵심 솔루션”이라며 “HD현대와 테라파워의 협력이 글로벌 원전 공급망 구축과 에너지 패러다임 전환을 앞당기는 마중물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크리스 르베크 테라파워 최고경영자(CEO)는 “HD현대는 세계 최고의 조선사이자 제조 전문성을 갖춘 핵심 파트너로서 글로벌 원자력 산업에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며 “이번 협력을 통해 나트륨 원자로 상용화를 가속화하고 새로운 글로벌 시장 기회를 창출하겠다”고 강조했다. 한편, HD현대는 테라파워와 함께 조선 분야에 적용 가능한 ‘용융염원자로’ 기술 개발에도 착수해 SMR 기반 추진 선박 개발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정책 고객의 시간을 1초라도 아껴주는 것이 공공 서비스 혁신입니다. 현장에서 체감할 수 있는 전달체계 개선을 통해 중소기업 지원정책을 A부터 Z까지 획기적으로 혁신하겠습니다.”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은 21일 열린 ‘중소기업 정책 전달체계 개선’ 현장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혔다. 이번 간담회는 현장의 목소리를 직접 청취해 정책에 반영하기 위해 마련됐으며, 중소기업 정책 수요자와 전문가, 유관기관 관계자 등 약 15명이 참석했다. 이번 행사는 한 장관 취임 이후 추진 중인 ‘중소기업 정책 현장투어’의 네 번째 일정으로, 앞서 기술 탈취, 수출 위기 대응, 제조업 AX·DX 전환 등을 주제로 진행된 바 있다. 간담회 참석자들은 지원사업 신청 시 과도한 행정 부담, 제3자 부당 개입, AI 기반 혁신기업 선별 필요성, 지원사업 정보 불균형 등 다양한 현안을 제기했다. 특히 지원사업 신청 절차의 복잡성과 행정 부담이 큰 문제로 지적됐다. 공고 확인, 자격 요건 검토, 증빙서류 제출 등 과정이 과도하다는 의견에 따라 행정정보 연계 강화와 서류 간소화 필요성이 강조됐다. 일부 브로커나 대행업체의 과도한 수수료 요구, 허위 자료 제출 사례도 공유되며 관리·감독 강화가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왔다. 아울러 AI 기술을 활용해 기업의 기술력과 성장 가능성을 객관적으로 평가하고, 성장 잠재력이 높은 기업에 우선 지원해야 한다는 제안도 이어졌다. 중소기업 지원사업 정보의 분산 문제도 도마에 올랐다. 참석자들은 부처·기관별로 흩어져 있는 지원사업 정보를 한 곳에서 검색·신청할 수 있는 통합 플랫폼을 구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중기부는 이번 간담회에서 나온 의견을 관계부처와 공유하고, 단기·중장기 과제로 나눠 실행 가능한 과제부터 신속히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구글 클라우드가 20일(현지시간) 온라인으로 열린 ‘구글 클라우드 시큐리티 서밋 2025(Google Cloud Security Summit 2025)’에서 기업과 조직의 안전한 AI 혁신을 지원하기 위한 보안 신기능을 대거 공개했다. 이번 행사에서 구글 클라우드는 핵심 보안 제품과 클라우드 환경 전반의 기능 업데이트를 비롯해 AI 에이전트 보호, 자율형 보안관제센터, 전문가 컨설팅 등 AI 생태계를 아우르는 통합 보안 전략을 선보였다. 구글은 시큐리티 커맨드 센터의 AI 보호 기능을 기반으로 AI 상호작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위협에 대응해 왔다. 최근 AI 에이전트 도입이 확대됨에 따라 구글은 구글 에이전트스페이스와 구글 에이전트 빌더를 통해 AI 보안 강화를 위한 핵심 기능들을 공개했다. 또한 구글은 구글 보안 운영 플랫폼을 기반으로 여러 AI 에이전트가 협력하는 ‘자율형 보안관제센터’ 비전을 제시했다. 이번에 공개된 프리뷰 기능인 ‘경고 조사 에이전트(Alert Investigation agent)’는 맨디언트(Mandiant)의 분석 노하우를 적용해 이벤트 보강, CLI 분석, 프로세스 트리 구축 등을 자율적으로 수행한다. 이를 통해 보안팀은 수작업을 줄이고 위협 대응 속도와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기업의 생성형 AI 및 AI 에이전트 활용 증가에 맞춰 맨디언트 컨설팅도 확대한다. 위험 기반 AI 거버넌스, AI 배포 전 지침, 위협 모델링 등이 제공돼 기업들이 보안 위험을 완화하며 AI를 안전하게 도입할 수 있도록 돕는다. 구글 통합 보안 플랫폼에도 새로운 기능이 추가됐다. ‘보안 운영 실험실’을 통해 제미나이 AI 기반의 최신 보안 기능을 체험할 수 있으며, SOAR 데이터를 통합한 대시보드도 정식 출시돼 보안 데이터 분석 역량을 높였다. 또한 크롬 엔터프라이즈의 모바일 보안 기능이 iOS와 안드로이드로 확장 적용됐다. 클라우드 전반의 보안·제어 기능도 강화됐다. 시큐리티 커맨드 센터에는 컴플라이언스 매니저, 데이터 보안 태세 관리, 리스크 보고서가 프리뷰로 제공된다. IAM 영역에서는 자율형 IAM, IAM 역할 선택기, 재인증 기능이 새롭게 발표됐다. 데이터 보안 측면에서는 민감 데이터 보호가 버텍스 AI와 빅쿼리, 클라우드SQL로 확장됐으며, 자동 키 관리 기능도 정식 출시됐다. 네트워크 보안에서는 차세대 방화벽과 제로 트러스트 네트워킹이 프리뷰 버전으로 제공되며, 클라우드 아머 엔터프라이즈의 중앙 집중식 보안 정책 관리 기능도 강화됐다. 구글은 변화하는 정책과 규정에 대응하면서 기업이 안전한 클라우드 환경에서 비즈니스 혁신을 이어갈 수 있도록 보안 역량을 지속적으로 고도화한다는 방침이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아주대학교 고제성 교수 연구팀이 곤충 라고벨리아를 모사한 초소형 수면 위 수상 로봇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22일 밝혔다. 이번 성과는 과기정통부 기초연구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라고벨리아는 소금쟁이과에 속하는 곤충으로, 다리 끝에 위치한 부채꼴 구조를 순간적으로 펼쳐 빠른 물살에서도 민첩하게 방향을 전환하거나 추진력을 얻는다. 그러나 이 구조가 초단시간에 작동하는 원리는 그동안 밝혀지지 않았다. 고 교수팀은 미국 UC 버클리와 조지아 공과대학교 연구팀과의 협력을 통해 라고벨리아의 구조적 특징을 로봇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팀은 곤충 크기의 로봇 다리에 21개의 인공 털을 활용한 부채꼴 구조를 적용, 강력한 추진력과 민첩한 회전·제동이 가능하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다리 끝 구조가 근육이 아닌 물과의 상호작용, 즉 ‘탄성-모세관 현상’에 의해 작동한다는 원리가 규명됐다. 이에 따라 로봇 다리는 물속에 들어가면 0.01초 이내에 자동으로 펼쳐지고, 물 밖에서는 즉시 접히는 ‘초고속 자가 변형 구조’를 구현할 수 있었다. 이번 성과는 고제성 교수가 박사과정 시절부터 15년간 이어온 소금쟁이 수면 거동 연구의 집약된 결과라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고 교수는 “자연계 곤충이 가진 구조적 지능을 규명한 이번 연구는 환경 모니터링, 구조 활동, 생체 모방 로봇 공학 등 다양한 분야에 응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이번 연구성과는 세계적 권위 학술지 사이언스 8월 22일자(현지시간 21일 오후 2시·EDT) 표지 논문으로 실렸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미국 디지털 컴퓨터통신산업협회(CCIA)가 25일 예정된 이재명 대통령 방미를 계기로 무역장벽 완화에 실질적인 전진이 이뤄지도록 미 정부에 촉구했다. 20일(현지시간) 미국 컴퓨터통신산업협회(CCIA)는 5개 관련 협회들과 함께 하워드 러트닉 미국 상무부 장관에게 서한을 보내 오는 25일 예정된 이재명 대통령의 방미를 계기로 디지털 무역장벽 완화에 실질적인 진전이 이뤄지도록 미 정부가 적극 나설 것을 촉구했다. CCIA협회는 다양한 통신 및 기술 기업을 대표하는 국제 비영리 무역 단체이다. CCIA는 50년 이상 개방형 시장, 시스템 및 네트워크를 옹호하고 있다. CCIA 회원사는 160만 명 이상의 인력을 고용하고, 연구 개발에 1,000억 달러 이상 투자하며, 수조 달러에 달하는 전 세계 경제 생산성에 기여하고 있다. 조너선 맥헤일 CCIA 부회장은 "한국은 미국의 주요 교역 상대국 중 하나이자 세계적 수준의 디지털 기술과 서비스를 주도하는 국가로, 미국 디지털 기업에 중요한 시장이다"다 면서 "한국은 혁신적인 기업들과 공정한 시장을 갖춘 이면에서 오랫동안 미국 제품과 서비스에 불리한 보호 정책을 유지해 왔고, 대미 무역 흑자가 지속적으로 증가하는 상황에서, 한국은 미국과 체결한 무역협정에 따라 경쟁력 있는 미국 기업에 시장을 개방할 의무가 있다”라고 말했다. 이어 맥헤일 부회장은 "무역장벽 완화가 더디게 진행되는 가운데, 다음 주 예정된 한미 정상회담은 이 문제를 다룰 유례없는 기회”라며 “우리는 양국 정부가 이 기회를 적극 활용하고, 한국이 공정하고 개방적인 시장을 향해 나아가기를 촉구한다"라고 덧붙였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차량 네트워크 및 임베디드 시스템 개발 분야 글로벌 소프트웨어 솔루션 기업 벡터코리아(지사장 장지환)는 폭스바겐이 차량 전자제어장치(ECU) 생산 품질을 높이고 소프트웨어 재작업 없는 완성차 출고율(Direct Run Rate, DRR)을 향상시키기 위해 벡터의 ECU 리프로그래밍 툴 ‘vFlash’를 도입했다고 22일 밝혔다. vFlash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또는 자동화 스크립트를 통해 진단 서비스(UDS 등)를 기반으로 ECU를 프로그래밍할 수 있는 솔루션이다. 현재 전 세계 100개 이상의 자동차 제조사에서 사용 중이며, 180개 이상의 플래시 사양을 지원해 확장성도 뛰어나다. 폭스바겐은 차량 생산 과정에서 모든 ECU에 정확한 소프트웨어 버전이 탑재돼야 한다는 엄격한 품질 기준을 적용한다. 하지만 생산 직전에 오류가 발견되면 라인 지연이나 임시 주차장 이동 후 업데이트 같은 비효율적 과정이 불가피하다. 이로 인해 막대한 비용과 납기 지연이 발생할 수 있어, 소프트웨어 재작업 없는 DRR 극대화가 폭스바겐의 주요 과제로 떠올랐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폭스바겐은 vFlash 및 vFlash Station을 도입했다. vFlash Station은 벡터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와 연동돼 여러 ECU를 병렬로 동시에 업데이트할 수 있으며, CAN·CAN FD·이더넷(Ethernet)·플렉스레이(FlexRay)·LIN 등 다양한 차량 네트워크 환경에서 사용 가능하다. 플러그인 기반 구조 덕분에 고객 맞춤형 확장도 용이하다. 특히 폭스바겐 독일 엠덴(Emden) 공장에서는 vFlash Station을 활용한 맞춤형 애플리케이션이 개발돼, 다수의 ECU를 짧은 시간 내에 병렬 업데이트할 수 있게 됐다. 업데이트가 완료된 ECU는 라벨이 자동 생성돼 이력 추적이 가능하며, 협력업체 역시 오류 없는 모듈을 생산 라인에 공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폭스바겐은 품질 안정성과 생산 효율성을 동시에 확보할 수 있게 됐다. 벡터코리아 관계자는 “이번 협업은 폭스바겐의 생산 품질 혁신에 기여할 뿐 아니라, 전 세계 자동차 제조사들의 스마트 생산 체계 구축에도 중요한 레퍼런스가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AI 경량화 및 최적화 전문 기업 노타(대표 채명수)가 21일 금융위원회에 코스닥 상장을 위한 증권신고서를 제출하며 본격적인 상장 절차에 들어갔다. 노타는 이번 상장을 통해 총 291만6,000주를 공모할 계획이다. 희망 공모가는 주당 7,600원~9,100원, 공모 예정 금액은 약 222억~265억 원 규모다. 기관투자자 대상 수요예측은 9월 12부터 18일, 일반 청약은 9월 23일부터 24일에 진행된다. 상장 주관사는 미래에셋증권이다. 최근 IPO 시장이 위축되고, 지난달부터 시행된 제도 개선으로 증권신고서 제출이 주춤한 가운데 노타의 행보는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업계에서는 노타가 견고한 사업 성과와 성장 비전을 기반으로 계획대로 절차를 진행하며 주목을 받고 있다고 분석한다. 2015년 설립된 노타는 독자 개발한 AI 모델 최적화 플랫폼 ‘넷츠프레소(NetsPresso®)’를 기반으로 엣지 디바이스에서도 고성능 AI 모델을 효율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기술을 제공한다. 복잡한 모델 최적화·배포 과정을 자동화해 비용 절감을 실현했으며, 엔비디아·삼성전자·Arm·퀄컴·소니·르네사스 등 글로벌 반도체 기업들과 협업해 상용화 성과를 거뒀다. 또한 국내 최초로 상용화에 성공한 **생성형 AI 기반 지능형 영상 관제 솔루션 ‘노타 비전 에이전트(NVA)’**를 산업안전, 교통, 리테일, 선별관제 등 다양한 분야에 공급 중이다. 특히 지난 4월 UAE 두바이 교통국과 국내 최초로 생성형 AI 솔루션 공급 계약을 체결했고, 7월에는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천2공장에 적용을 완료하며 글로벌 경쟁력을 입증했다. 매출 성장세도 가파르다. 노타의 매출액은 2021년 4.8억 원, 2022년 20.1억 원, 2023년 35.8억 원, 2024년 84.4억 원으로 집계돼 연평균 성장률 159.7%를 기록했다. 채명수 대표는 “최근 IPO 시장이 위축된 가운데 계획대로 증권신고서를 제출한 것은 검증된 수익성과 중장기 성장 비전을 입증한 결과”라며, “이번 IPO를 통해 확보한 자금을 기술 고도화와 글로벌 확장에 전략적으로 투자해 AI 경량화·최적화 분야의 글로벌 선도 기업으로 자리매김하겠다”고 강조했다. 노타는 2020년 독일 베를린, 2022년 미국 서니베일에 현지 법인을 설립하며 해외 진출 기반을 마련했다. 이후 중동·일본·동남아 시장으로 사업을 확대했으며, 올해 글로벌 시장조사업체 **CB 인사이트(CB Insights)**가 선정한 ‘글로벌 혁신 AI 스타트업 100’에 이름을 올리며 기술 경쟁력을 공인받았다. 한편, 노타는 최근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의 ‘국가대표 AI’ 개발 과제에서 업스테이지 정예팀의 일원으로 최종 5개 팀에 선발돼 독자적인 AI 파운데이션 모델 개발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더테크 이지영 기자] 정밀 계측은 바이오 이미징, 반도체 결함 진단, 우주 망원경 관측 등 첨단 과학기술의 핵심 기반이다. 그러나 기존 센서 기술은 물리적 한계인 ‘표준 양자 한계’를 넘기 어려웠다. 이를 돌파할 차세대 대안으로 ‘분산형 양자 센서’ 기술이 주목받고 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양자기술연구단 임향택 박사 연구팀은 특수한 양자 얽힘 상태인 ‘다중 모드 N00N 상태’를 활용해 정밀도와 해상도를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세계 최초의 초고해상도 분산형 양자 센서 네트워크 기술을 구현했다고 21일 밝혔다. 기존 연구는 단일 광자 얽힘을 활용해 정밀도는 높였지만, 고해상도 이미징에는 한계가 있었다. 이번에 KIST 연구팀이 적용한 다중 모드 N00N 상태는 여러 광자가 특정 경로에 얽혀 빛의 간섭 무늬를 더욱 촘촘하게 만들어, 해상도와 민감도를 동시에 끌어올릴 수 있다. 이를 통해 양자 계측이 도달할 수 있는 최고 수준의 정밀도인 ‘하이젠베르크 한계’에 근접한 성과를 입증했다. 연구팀은 4개의 경로에 얽힌 2광자 다중 모드 N00N 상태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서로 다른 두 개의 위상 정보를 동시에 측정하는 실험을 수행했다. 그 결과 기존 대비 약 88% 향상된 정밀도(2.74 dB 개선)를 기록하며 실제 실험에서도 이론적 한계에 가까운 성능을 확인했다. 이번 성과는 생명과학, 반도체, 정밀 의료, 우주 관측 등 정밀 계측이 필요한 다양한 산업에 폭넓게 응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세포 내부 미세 구조의 고해상도 영상화, 나노 단위 반도체 회로 결함 탐지, 원거리 천체 구조의 정밀 관측 등이 대표적 활용 사례다. 임향택 박사는 “이번 연구는 양자 얽힘을 기반으로 한 실용적 양자 센서 네트워크 가능성을 입증한 중요한 전환점”이라며 “향후 실리콘 포토닉스 기반의 양자 칩 기술과 융합하면 일상생활의 다양한 분야에도 적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 '피지컬 리뷰 레터스 IF 9.0, JCR 상위 7.5%' 최신 호에 게재됐다.
[더테크 이승수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21일 대전 한국표준과학연구원에서 '퀀텀 프론티어 전략대화'를 열고, 산·학·연 전문가들과 함께 국내 양자(Quantum) 기술 및 산업 발전을 위한 종합계획 수립 논의를 본격화했다고 밝혔다. 이번 전략대화는 올해 말 수립 예정인 '양자과학기술 및 양자산업 육성에 관한 종합계획'의 방향을 논의하기 위한 자리로, 향후 10년을 내다보는 국가 양자 로드맵 마련에 초점이 맞춰졌다. 이날 배 장관은 간담회에 앞서 한국표준과학연구원의 초전도 양자컴퓨팅·양자통신 연구시설을 방문했다. 표준연은 최근 20큐비트 양자컴퓨터 시연 성과와 50큐비트 개발 계획을 소개했으며, 소형 양자키분배(QKD) 모듈 개발과 양자통신 테스트베드 운영 현황을 설명했다. 이어진 간담회에는 KAIST, 이화여대, 연세대, ETRI, KISA 등 주요 연구기관과 삼성SDS, 지큐티코리아, 큐심플러스 등 기업 관계자가 참여해 대한민국 양자 전략과 보안 혁신 방안을 논의했다. 이 자리에서 배 장관은 “AI 강국으로 도약하기 위해서는 양자 기술이 핵심”이라며 AI와 양자의 융합 필요성을 강조했다. 참석자들은 ▲AI-양자 기술 융합 준비 ▲양자 소재·부품·장비 기업 육성 ▲소프트웨어 R&D 통한 활용시장 선점 ▲전문 인력 양성 ▲정부 주도의 실증 사업 확대 등을 주요 과제로 제안했다. 배경훈 장관은 “오늘 퀀텀 프론티어 전략대화를 통해 대한민국 양자기술·산업의 미래 10년 청사진을 그려볼 수 있어 뜻깊었다”고 하고, “양자기술 분야별 장·단기 특화 육성전략과 Quantum+AI 등 핵심 과제들이 양자종합계획에 잘 반영될 수 있도록 준비하겠다”고 밝혔다. 아울러, “다가오는 보안 위협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양자보안기술을 토대로 보안 패러다임을 혁신하는데에도 과기정통부가 앞장서겠다”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