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학계 중심 딥모빌리티 컨소시엄 출범

차량-인프라-서비스 부문 국내 기업과 개방형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 개발
“급변하는 모빌리티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선도하는 기반이 될 것”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모빌리티 분야에서 국내 처음으로 학꼐 중심의 다기관 회원제 컨소시엄을 구축하고 개방형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카이스트는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핵심기술 확보를 위해 새로운 형태의 밀착형 산학 협력 모델을 만들어 대전시와 협약을 통해 ‘딥 모빌리티 컨소시엄’ 출범식을 개최했다고 4일 밝혔다.

 

글로벌 모빌리티 산업계는 차량 제조사 중심의 수직적 생태계에서 벗어나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업체를 포함한 수평적 생태계로 급격하게 전환 중이다. 이에 국내 산업계가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차량-인프라-서비스 부문간의 유기적 연계와 함께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제도적 장치 마련을 위한 산·학·연·관 간의 효율적인 협력이 필요하다.

 

카이스트는 기존 ‘단일 교수-단일 회사’ 간의 산학협력을 넘어 ‘다수의 교수-다수의 기업’이 협력하는 새로운 산학협력 모델을 제시하고 이를 통해 모빌리티의 핵심기술인 ‘개방형 통합 모빌리티 플랫폼’을 개발할 예정이다.

 

이동만 카이스트 교학부총장 겸 전산학부 교수는 “소프트웨어 중심의 모빌리티 프레임워크 개발, 모빌리티 솔루션 테스트 환경을 제공하는 리빙랩 클라우드 구축, 리얼 버추얼리티 트윈 개발을 중점적으로 수행할 이번 컨소시엄은 안전하고 신뢰할 수 있는 스마트 모빌리티 솔루션을 제공하는 초석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딥모빌리티 컨소시엄에는 모빌리티 서비스, 임베디드 소프트웨어 및 IT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등 시스탬 개발 경험이 풍부한 카이스트 교수진이 다수 참여했다. 아울러 현대자동차그룹과 한국앤컴퍼니, HL클레무브, 파트론, 펜타시스템, 모라이, 엠큐닉 등 국내 기업과 실무 협의를 진행 중이다.

 

참여기업은 각 회사 연구진의 기술개발 참여 및 연구개발 과정의 데이터와 결과물을 공유하는 등 실질적인 산학협력을 진행할 계획이다. 대전시와 제주도 등 지방자치단체도 컨소시엄에 참여해 5G 통신망을 기반으로 기술실증 환경을 제공하고 제도적으로도 지원할 예정이다.

 

출범식 자리에서 이광형 카이스트 총장은 “급변하는 모빌리티 시장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고 이를 선도하기 위해서는 기존과 차별화된 밀착형 산학 협력 모델의 구축이 필요하다”며 “모빌리티 분야에서 처음 시도하는 컨소시엄의 출범과 지속적인 발전을 통해 향후 국내 관련 산업계가 미래 모빌리티 분야의 혁신을 선도하고 새로운 기술 가치를 창출하길 기원한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75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