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한가요?’ 스마트폰으로 확인하는 정신건강

카이스트, 언어 사용 패턴을 분석해 정신건강 상태 모니터링하는 기술 개발
데이터 유출 없이 개인의 프라이버시를 지키며 정신건강 상태 조기진단 가능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가 마음의 감기로 불리는 우울증 진단을 위한 스마트폰 기술을 개발했다. 

 

카이스트는 이성주 전기및전자공학부 연구팀이 사용자의 언어 패턴을 분석해 정신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하는 인공지능(AI) 기술을 개발했다고 21일 밝혔다. 사용자가 스마트폰을 사용하기만 해도 정신건강 상태를 분석하고 진단할 수 있다는 것이다.

 

연구팀은 임상적으로 진행되는 정신질환 진단이 환자와의 상담을 통한 언어 사용 분석에서 시작한다는 점에 착안해 연구를 진행했다. 이번 기술은 사용자가 직접 작성한 문자 메시지 등의 텍스트와 통화를 통해 수집되는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건강 진단을 수행한다.

 

이러한 데이터는 민감성 정보가 포함돼 기존에는 활용이 어려웠다.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연구팀은 연합학습 인공 지능 기술을 적용했다. 이는 사용자 기기 외부로의 데이터 유출 없이 AI 모델을 학습해 사생활 침해의 우려를 없앴다.

 

이성주 교수는 “이번 연구는 모바일 센싱, 자연어 처리, 인공지능, 심리학 전문가들의 협력으로 진행됐다”며 “정신질환으로 곤란해하는 사람들이 많은데, 프라이버시를 지키면서 스마트폰 활용만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조기진단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AI 모델은 일상 대화 내용과 화자의 정신건강을 바탕으로 한 데이터셋을 기반으로 학습됐다. 모델은 스마트폰에서 입력된 대화를 실시간으로 분석해 학습된 내용을 바탕으로 정신건강 척도를 예측한다.

 

연구팀은 스마트폰 통화의 언어 데이터로 효과적인 정신건강 진단을 진행하는 방법론을 개발했다. 사용자들이 언어를 사용하는 패턴이 상황마다 다르다는 점에서 착안해 음성 데이터를 기반으로 AI 모델이 상대적으로 중요한 언어 데이터에 집중하도록 설계했다.

 

예를 들어 업무 시간보다는 저녁 시간 또는 가족이나 친구들과 나누는 대화에서 정신건강 상태를 모니터링할 수 있는 단서가 많다고 AI가 판단해 중점을 두고 분석하는 식이다.

 

이번 연구는 이성주 교수와 신재민 박사과정, 유형준 박사과정, 이승주 석사과정 등 카이스트 연구팀과 박성준 SoftlyAI 대표, 윤신 리우 칭화대 교수, 최진호 에모리대 교수의 공동 연구로 진행됐다. 아울러 이번 연구 내용을 담은 논문은 자연어 처리 분야의 최고 권위 학회인 EMNLP(Conference on Empirical Methods in Natural Language Processing)에서 발표됐다.


관련기사

50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