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이스트, 새로운 비만 치료 전략 제시해

지방세포를 세포 전 단계서 조절해 비만이나 당뇨 제어 방법 제시
기존 식욕억제 등과 차별화된 방법으로 생쥐 실험서 비만을 되돌려

 

[더테크=조재호 기자] 카이스트 연구진이 지방세포를 전 단계인 줄기세포로 변화 및 탈분화해 지방조직의 물리적인 크기를 줄이는 등 전략을 제시했다. 이는 지방세포의 활성화를 통해 체내 신진대사 변화를 통해 비만이나 당뇨 등 대사성 질환의 제어한 것으로 화제를 불러 모았다.

 

카이스트는 1일 서재명 의과학대학원 연구팀과 임대식 생명과학과 교수 연구팀이 공동 연구를 통해 대사성 질환의 새로운 치료 전략을 규명했다고 밝혔다.

 

지방조직은 식사 후 여분의 칼로리를 지방으로 저장하고 호르몬을 분비하는 내분비기관의 역할을 한다. 이 두 가지 중 하나라도 이상이 생기면 대사 체계가 무너지면서 당뇨 혹은 비만 같은 대사질환에 걸린다. 그러나 이 두 기능을 관장하는 분자 수준의 기전은 아직까지 알려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히포 신호전달체계의 얍타즈(YAP/TAZ) 단백질에 주목해 이 단백질의 지방세포 관련 기능을 규명했다. △식사 유무에 따라 지방조직의 얍타즈의 활성상태가 변화 △단백질의 활성이 지방조직의 크기를 직접적으로 조절 △에너지소비와 포만감을 관장하는 랩틴이라는 호르몬 생성에 얍타즈가 직접적으로 관여한다는 점 등을 밝혔다.

 

생채 내에서 활성화된 얍타즈의 역할을 규명하기 위해 생쥐의 지방세포에서 라츠1/라츠2(LATS1/LATS2) 유전자를 결손시켰다. 지방세포 안에서 얍타즈의 지속적인 활성은 지방세포의 전구체인 줄기세포와 같은 세포로 변화 및 탈분화시켜 지방조직의 물리적인 크기를 줄인다는 점을 확인했다.

 

탈분화는 통한 체지방 감소는 에너지소비에 집중된 갈색지방의 활성화 또는 운동처럼 기존의 방법과 차별화된 방법이다. 아울러 식욕억제 및 에너지소비를 증진하는 핵심 호르몬인 랩틴의 분자 수준에서의 기전도 규명했다.

 

이번 연구는 1998년 유전자 서열이 밝혀졌지만 DNA로부터 RNA를 만들어 내는 전사 조절 기전이 밝혀지지 않았던 랩틴의 비밀을 밝혔다는 점에서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다. 이는 지방세포의 압타즈의 활성 증가를 통해 혁신적인 비만 대사질환 치료제 개발의 새로운 가능성을 제시했기 때문이다.

 

이번 연구는 국제 학술지 ‘네이처 대사(Nature Metabolism)’ 5월 29일자 온라인판으로 게재됐다.

 


관련기사

7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