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6G 통신 위한 종합 방향성 제시해

국제 학술지 IEEE에 차세대 6G 기술 논문 게재
5G 상용화 경험 토대로 이통사 입장에서 학계와 소통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통신 서비스 제공자의 경험을 토대로 차세대 이동통신의 발전 방향성에 대해 학계와 소통했다.

 

SK텔레콤은 26일 자사 연구진이 6세대 이동통신(6G) 기술 연구 논문이 국제적으로 권위 있는 학술지인 ‘IEEE 커뮤니케이션즈’에 게재된다고 밝혔다. 해당 학술지는 통신 분야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국제 학술지 중 하나로 전자공학 분야 상위 4%, 이동통신 분야 상위 4.5%에 올라 있는 SCI급 저널이다.

 

이번 논문은 ‘이동통신사 관점에서의 6G(Operator’s Perspective on 6G: 6G Services, Vision, and Spectrum)’라는 제목으로 6G 비전 수립을 위해 통신 서비스 제공 사업자 관점에서 종합적으로 설명했다. 여기서 중요 요소로는 AI·센싱·주파수 등이 꼽혔다.

 

이번 논문은 지난해 국제전기통신연합(ITU)의 ‘6G 비전’ 권고안 승인 이후 발표됐는데 글로벌 6G의 진화 방향성을 선제적으로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미가 크다. 서울대 박세웅 교수, 경북대 최정식 교수 연구팀과 공동 집필한 논문은 오는 8월 IEEE 매거진에 게재될 예정이다.

 

논문에서는 5G 상용화 경험을 바탕으로 현실적인 요구조건을 학계에 제시했다. 차세대 이동통신은 속도에 대한 막연한 기대감보다 산업별 서비스가 뒷받침되어 생태계가 조성되어야 한다고 말했다. 6G의 핵심 요소로 통신과 AI 융합을 강조했는데 성능 극대화와 더불어 다양한 분야의 혁신을 가져올 것으로 예상했다.

 

SKT는 이번 논문 게재와 함께 6G 진화 관련 학술 연구를 지속해 국내외 학회에 지속 기여한다는 계획이다. SKT는 지난해 6G 백서를 통해 차세대 이동통신의 핵심 요구사항과 미래 네트워크 진화 방향성을 제시했다.

 

이후 차세대 인프라 구조 진화를 위한 핵심 기술인 ‘텔코 에지 AI 인프라(Telco Edge AI Infra)’ 연구와 기술력 확보에 주력하고 있다. 이는 에지 컴퓨팅을 통해 클라우드로 집중되는 연산 부담을 덜고 AI 솔루션을 결합해 추론을 진행하는 등 이동통신망의 가치를 높이는 기술이다.

 

SKT는 이달 한국 기업 처음으로 ‘O-RAN 얼라이언스(O-RAN Alliance) 표준회의’를 개최했고 지난 5월 이동통신 표준화 기술협력 기구인 3GPP에서 진행된 ‘IMT-2030 적용 사례 워크숍 및 6G 발표 세션’에서도 ‘텔코 에지 AI 인프라’의 중요성 및 표준화 필요성을 제언하며 글로벌 공감대를 확보했다.

 

류탁기 SK텔레콤 인프라기술담당은 “주요 저널 및 학회 논문 투고를 꾸준히 이어가며 6G에 대한 현실적인 고려사항을 산업계 및 학계에 전파하고 있다”며 “AI와 통신기술의 결합을 포함한 SKT의 차세대 인프라 진화 기술에 대한 공신력을 높이기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