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T, AI 데이터센터 기술 표준화 이끌어

UN 산하 정보통신 표준화 기관에 AI DC 표준 과제 승인
“글로벌 AI DC 표준 과제 채택은 SKT의 축적된 역량 인정 의미”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인공지능 데이터센터와 관련한 국제 표준화를 추진한다. 이번 작업은 글로벌 차원에서 기업이나 기관의 AI DC 건립을 촉진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SK텔레콤이 13일 AI 데이터센터(이하 AI DC) 관련 기술의 글로벌 표준 정립을 위해 UN 산화의 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표준화 부문(ITU-T)에 제안한 ‘AI DC 기술의 연동구조와 방식’이 ITU-T 스위스 제네바 국제회의에서 신규 표준화 과제로 승인됐다고 밝혔다.

 

ITU-T는 국제전기통신연합(ITU)에서 전기와 통신 관련 표준에 대한 연구 및 표준화를 수행하는 기관으로 190여 회원국과 900여 기관, 기업, 연구소 등이 참여 중이다. 이번 ITU-T 국제회의는 제네바에서 지난 1일부터 10일까지 진행됐다.

 

SKT는 이번 AI DC 기술 표준화 과제 채택에 대해 SKT가 SK그룹 내 다양한 관계사와 협력하고 수년간 AI와 ICT 분야 역량 축적 및 요소 기술 개발 등을 이어왔기 때문이라고 밝혔다.

 

최근 데이터센터 내 AI 관련 작업량과 트래픽 증가에 따른 에너지 소비량과 운영난이도, 다양한 기술 및 솔루션 제공자와의 연동 필요성 등의 증가로 인해 업계에서 AI DC 관련 기술들에 대한 국제 표준의 필요성이 제기됐다. 아울러 다양한 사용자들 수요를 충족시킬 서비스와 함께 데이터센터간 호환성을 지켜줄 상호 연결성 최적화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SKT는 이번 과제에 대해 AI DC를 구성하는 주요 기술 요소간 유기적인 연동과 결합을 목표로 데이터센터의 각종 기술 요소간 구조, 신호방식, 사용방식 등을 담고 있다고 밝혔다. 주요 기술 요소간 연동 구조를 기능과 역할에 따라 △AI 인프라(AI Infra) △관리(Management) △자원 배분(Resource Allocation)의 3개 모듈로 분류하고 각 모듈 간 연동구조와 데이터 통신 등에 대한 청사진을 표준화 안에 담았다.

 

 

AI 인프라 모듈은 AI프로세서, 메모리, 스토리지와 차세대 냉각기술, 에너지 효율화 솔루션, 보안 등의 기술 요소들에 대해 다룬다. 다음으로 관리 모듈은 AI DC 인프라의 관리와 관련된 기술 요소들을 담았다. 마지막으로 자원 배분은 AI DC 내 자원 가상화 및 자원 할당, 인증 등을 담당하는 기술 요소들에 대한 모듈이다.

 

향후 SKT는 AI DC의 모듈 간 연동 구조와 연동을 위한 데이터 종류 등의 세부 표준을 개발한다. 이후 ITU-T 회의를 통해 개발된 안에 대한 논의 및 최족 채택 과정을 통해 정식으로 글로벌 표준이 된다.

 

이종민 SKT 미래R&D 담당은 “이번 신규 표준화 과제 승인은 국제 표준화 기구와 관련 기술데 대한 중요성을 공감한 것은 물론, AI DC 분야에서의 SKT가 축적한 R&D 역량을 인정했다는 의미”라며 “SKT는 앞으로 SK그룹 역량과 글로벌 협력을 통해 AI DC 표준 규격을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