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혁신, 균형 있는 선순환 구조 필요해”

유영상 SKT CEO, AI 서울정상회의서 국내외 대표 AI 기업으로 발제나서
AIDC·AI 거버넌스 등 산업계 노력 소개, AI와 사회적 윤리 함께 진화하는 방안 제시

 

[더테크=조재호 기자] SK텔레콤이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인공지능(AI) 혁신으로 촉발되는 가치와 사회적 문제에 대해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국가와 기업이 협력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KT은 21일과 22일 양일간 서울에서 진행된 ‘AI 서울 정상회의’에서 유영상 CEO가 17개국 정부와 재계 인사들 앞에서 대한민국 대표 AI 기업으로 지속가능한 혁신 방안에 대해 발표했다고 23일 밝혔다.

 

AI 서울 정상회의는 미국, 영국 등 주요국 정상과 디지털부 장관, 국내외 빅테크 대표들이 참석하는 회의로 21일 정상세션과 22일 장관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됐다.

 

유 CEO는 둘째날 장관세션에서 17개국 디지털부 장관들과 오픈AI, MS 등 빅테크 기업 대표들이 참석한 가운데 국내외기업으로는 유일하게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Building Sustainable & Reliable AI)’라는 주제로 발표를 진행했다.

 

이 자리에서 유 CEO는 AI로 창출되는 경제적·사회적 가치와 AI로 촉발되는사회적 문제가 공존하는 현 시점에서 국제사회가 머리를 맞대어 균형 있는 발전을 위해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유 CEO는 “데이터센터를 구축하고 운영하는데 막대한 전력과 비용이 소요된다”며 “한국의 경우 기업과 정부가 협력해 전력 사용량과 탄소배출량을 줄이는 AI 칩 개발과 AI데이터센터 구축 등에 힘쓰고 있다”고 밝혔다.

 

다음으로 AI 가져오는 한계성과 페이크 뉴스와 같은 부작용을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고민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최근 한국 과학정보기술통신부가 개최한 ‘생성형 AI 레드팀 챌린지’를 언급하며 “AI의 지속가능성과 안정성에 대해 깊이 생각해볼 수 있는 기회였다”고 말했다.

 

아울러 ‘지속 가능하고 신뢰할 수 있는 AI 발전’을 위한 세가지 아젠다를 제시했다. 유 CEO는 △AI 인프라 접근성 강화 △새로운 일자리 창출 △AI 문제를 위한 기술적·정책적 국제사회 공조 등을 제안했다.

 

유 CEO는 “국제사회가 AI의 안전성에 대한 심각성과 함께 AI가 창출할 수 있는 혁신성에 대해서도 균형 있는 고심과 노력이 필요하다”며 “국가와 기업들이 협력해 AI 부작용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AI 혁신을 이뤄내는 균형 있는 선순환 구조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

93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