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 글로벌 ‘공조 엔지니어’ 육성 인프라 구축

전 세계 62개 지역에서 LG전자 HVAC 전문 설치·서비스 엔지니어 양성할 아카데미 설립
HVAC, AI의 시대를 맞이해 데이터센터 등 ‘열 관리 전문’ AI 후방 사업으로 주목받아

 

[더테크=조재호 기자] LG전자가 냉난방공조 솔루션을 관리하는 현지 인력을 육성해 글로벌 B2B 사업 확대를 위한 인프라 구축하고 있다.

 

LG전자는 13일 글로벌 냉난방공조(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HVAC) 시장 탑 티어 기업으로 도약하기 위해 미국과 인도 등 세계 43개 국가, 62개 지역에서 매년 3만명이 넘는 HVAC 엔지니어를 양성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글로벌 B2B 사업 확대를 위한 인프라를 구축으로 차별화된 고객경험을 제공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 글로벌 HVAC 아카데미를 운영하고 있는데 전 세계 각지에서 주거·상업용 냉난방 시스템, 고효율 칠러 등 LG전자의 다양한 공조 제품 설치와 유지관리 교육을 진행하는 기관으로 올해 기준 3만7000명이 교육을 이수할 예정이다.

 

냉난방공조는 건물 규모와 용도, 유지·보수, 에너지 효율 등을 고려한 최적화된 설계부터 제품 설치, 사후 관리까지 공조 기술 전문가의 역량이 중요한 분야다.

 

세계 곳곳에 배치된 HVAC 아카데미는 LG전자가 B2B HVAC 사업을 확대해 나가는 거점 역할도 수행한다. 설치 엔지니어를 대상으로 포럼을 진행하거나 고객사나 대형 건물의 공조 설계를 담당하는 컨설턴트를 초청해 세미나를 개최하는 등 지역 B2B 핵심 관계자들과 네트워킹을 강화하는 공간으로 활용되기 때문이다. LG전자는 아카데미에 제품을 진열하는 통합 전시존도 마련했다.

 

LG전자는 이러한 글로벌 HVAC 아카데미를 지속 확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올해 상반기에만 미국 보스턴과 대만 타이베이, 인도 첸나이와 콜카타에 새로운 아카데미가 문을 열었다. 하반기에는 프랑스 리옹에도 아카데미가 설립될 예정이다.

 

시장조사기업 IBIS 월드는 2023년 기준 글로벌 냉난방공조 시장 규모는 584억달러(79.8조원)로 추정했다. LG전자는 다양한 HVAC 솔루션으로 글로벌시장 공략에 속도를 내고 있다. HVAC 사업은 AI의 시대를 맞이해 데이터센터나 반도체 공장 등 AI 후방산업에 대한 인프라 투자로 주목받고 있다.

 

LG전자는 지난해 7월 ‘2030 미래비전’을 발표하며 B2B 사업에서 중요한 축을 차지하는 가정·상업용 냉난방공조 사업 매출을 2030년까지 두 배 이상 성장시켜 글로벌 탑티어 종합공조기업으로 도약하겠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주요 지역에서 연구개발부터 생산, 영업, 유지보수로 이어지는 ‘현지 완결형 사업구조’를 구축하고 있다.

 

이재성 LG전자 H&A사업본부 에어솔루션사업부장은 “세계 각지의 아카데미를 현지 엔지니어들의 역량을 높이고 고객과의 접점을 늘려나가는 글로벌 HVAC 사업의 핵심 인프라로 꾸준히 확대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88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