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이퍼클로바X, ‘초거대 AI 혁신’ 보여줄까

공개 이전부터 생태계 구축 진행, B2B 전략 엿보여
소문난 ‘한국어 능력’외 다른 차별점 선보일지 관심

 

[더테크=문용필 기자] 이만하면 ‘소문난 잔치’라고 표현해도 무리가 없어보인다. 그렇기에 소문이 난 만큼 ‘새로운 먹거리’를 보여줘야 할 것으로 보인다. 아니면 누구나 납득할 만한 가능성이라도 말이다. 조만간 공개되는 네이버의 ‘하이퍼클로바X’(HyperCLOVA X)이야기다.

 

(관련기사: [현장] “싸이월드의 아쉬움 반복하지 않을 것”)

 

네이버는 오는 24일 서울 강남구 그랜드 인터컨티넨탈 서울 파르나스에서 ‘팀네이버 컨퍼런스 단23’을 개최한다. 올해 국내 ICT 업계의 주요 이슈 중 하나로 꼽히는 초거대 AI언어모델(LLM) 하이퍼클로바X가 공개되는 자리다. 이날 오전부터 오후까지 진행되는 각 세션에선 하이퍼클로바X와 관련된 각종 인사이트들이 공유될 것으로 예상된다.

 

하이퍼클로바X가 공개되기 이전부터 네이버는 국내 유수의 기업들의 서비스와 기술에 이를 접목하기 위해 동분서주하는 모양새다. 주요 움직임들을 살펴보면 네이버클라우드는 지난 3월 한컴오피스에 하이퍼클로바X를 적용하기 위해 한글과컴퓨터와 전략적 파트너십을 체결했으며 같은달에는 SK C&C와 초대규모 AI기반 B2B사업 협력에 나섰다.

 

 

지난달에는 모빌리티 서비스 기업인 쏘카와 하이퍼클로바X 기반으로 한 협력관계를 구축했으며이달에는 게임회사인 스마일게이트와 하이퍼클로바X 활용 협력사업 진행을 위한 MOU를 체결했다. 이쯤되면 분야별 카테고리를 뛰어넘는 ‘광폭행보’라고 볼 수 있다.

 

비교적 ‘덩치’있는 기업뿐만 아니라 스타트업들도 협력대상이다. 지난달 열린 ‘네이버 AI RUSH 2023’은 하이퍼클로바X를 활용해 스타트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프로젝트로 진행됐다.

 

(관련기사: AI 개발 지원 프로젝트 '네이버 AI RUSH 2023' 개최)

 

네이버 D2SF는 생성형 AI 스타트업을 발굴하고 신규 투자를 진행하는 프로젝트에 나섰다. 네이버 관계자는 더테크에 “최근 네이버의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 X와 발맞춰 관련 스타트업 투자를 적극적으로 진행하려는 목적”이라고 설명했다.

 

(관련기사: 네이버, 생성 AI 신규 스타트업 투자 나선다)

 

이같은 일련의 움직임을 정리해보면 네이버가 ‘하이퍼클로바X’를 통해 독자적인 AI생태계를 구축하려는 것이란 결론이 도출된다. 한상기 테크프론티어 대표는 “네이버는 (AI) 생태계 구축을 강조하는 편인데 이것이 매출로 이어져야 한다는 부담이 있는 것 같다”며 “그래서 B2B 전략을 강하게 세우는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실제로 네이버가 지난달 내놓은 하이퍼클로바X기반 서비스 라인업 관련 보도자료에 따르면 성낙호 네이버클라우드 하이퍼스케일 AI기술총괄은 “지난 2년 동안 초대규모 AI 기술을 성공적으로 사업화한 경험을 기반으로 사용자, SME, 기업 고객 등 플랫폼 파트너들과 더 확장된 AI 생태계를 조성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네이버는 ‘클로바 스튜디오’에 하이퍼클로바X 모델이 탑재된 버전을 이달 중 일부 기업에 선공개하고 오는 10월 공식 출시할 예정이다. 같은 달에는 생성형 AI서비스를 이용하는 기업고객에게 더욱 강력한 보안을 제공한다는 ‘하이퍼클로바X를 위한 뉴로클라우드’도 선보일 예정이다.

 

(관련기사: 네이버, 하이퍼클로바X 기반 서비스 라인업 공개)

 

“이제부터의 경쟁, 비즈니스에 실질적 ‘턴오버’ 보이는 것”

 

‘공식 데뷔’전부터 생태계를 단단하게 구축하고 있다면 이제 남은 건 하이퍼클로바X만의 능력을 보여주는 것이다.

 

보안성과 방대한 데이터. 자체 플랫폼 등도 업계와 언론에서 장점으로 언급되지만 하이퍼클로바X의 가장 큰 무기로 볼 수 있는 것은 바로 ‘한국어 능력’. 하이퍼클로바X는 생성형 AI의 ‘맛집’격인 오픈AI의 챗GPT와 비교해 6500배나 한국어를 더 많이 학습한 것으로 전해졌다.

 

챗GTP나 구글의 바드의 ‘어딘가 아쉬운’ 한국어 능력보다는 훨씬 나을 것이라는 기대가 형성되는 이유다. B2B와 B2C를 막론하고 국내에서 LLM 기반의 서비스를 하려는 기업들에게는 매력적으로 다가올 수밖에 없다.

 

AI 업계 한 관계자는 “LLM이 등장한 이후 LLM에 의존하는 비즈니스 모델이 만들어지고 있는데 국내에서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들어내지 않는다면 해외에 의존할 수 밖에 없다”며 “(이런 관점에서) 한국에 특화된 초거대 (AI)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드는 것은 상당한 의미가 있다. ‘우리나라도 파운데이션 모델을 만들 수 있는 국가’라는 측면에서도 그렇다”고 말했다.

 

한국어 처리능력 외에 챗GPT같은 ‘외산 LLM’과 차별화되는 '킬링포인트'를 보여줘야 한다는 시각도 나타난다. 앞서 이야기한 보안성과 방대한 데이터도 있지만 초거대AI의 '게임체인저'가 될만한 강력한 한방이 존재하느냐는 것이다. 

 

한상기 대표는 “개인적으로 궁금한 점은 네이버가 자체서비스에 (하이퍼클로바X를) 어떻게 녹이느냐이다. 검색이나 쇼핑이나 기타 콘텐츠 크리에이션 등에서 탁월하게 보이는 면이 있어야 한다”며 “그런데 챗GPT나 바드의 수준에서 머무른다면 그 다음에 이야기할 것은 한국어 잘한다는 것 밖에 없다. 그런데 그건 (이전 버전인) 하이퍼클로바에서도 한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 대표는 “할루시네이션 등의 문제를 해결했다면 박수를 받겠지만 단지 좋은 파트너가 많고. 한국어 처리를 잘하고, 다른 LLM에서 나온 것을 다 한다는 정도에 그친다면 ‘수고 많았다’는 (반응) 정도로 끝날 것 같다”며 “이제부터의 (초거대AI) 경쟁은 비즈니스에 실질적인 ‘턴오버’를 보여주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직 공개 이전이긴 하지만 다른 한편에선 하이퍼클로바X의 ‘혁신’이 세간의 기대에 비해 크지 않을 것 같다는 전망도 있다. 금득규 유한대 인공지능융합학과 교수는 “네이버는 데이터센터를 보유하고 있고 클라우드 서비스도 하고 있다. 플랫폼도 갖추고 있다. 많은 데이터를 갖고있으니 (하이퍼클로바X에도) 장점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하지만 네이버만의 장점이 있으니 좀 더 잘할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다. LLM이나 초거대AI의 새로운 카테고리를 만들 만큼의 혁신을 보여줄 것이라곤 생각하진 않는다”며 “어떤 기술이 나타난다고 해도 현재의 레거시 시스템에서 조금씩 진화하는 것이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해외무대에서의 경쟁력 역시 하이퍼클로바X에 대한 평가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뛰어난 한국어 능력만큼이나 영어 등 주요 언어들을 다루는 기술에 시선이 모아질 것으로 보인다. 한상기 대표는 “(주로) 우리나라 기업들을 대상으로 생태계를 만드는 것은 다소 아쉬운 부분”이라고 봤다.

 

업계 관계자는 “국내 규제안에서 네이버가 최선을 다했을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냉정하게 보면 (글로벌 경쟁력에는) 한계가 있을 것 같다”며 “학습된 데이터가 한국에서 플레이하는 것에 보다 특화될 수 밖에 없을 것 같다”고 언급했다.

 

다만 이 관계자는 “네이버가 아시아 국가들같이 전략적으로 확장성있는 언어를 커버할 수 있다면 (판도가) 달라질 수 있다”며 “언어에 포함된 해당 국가의 문화까지 담을 수 있다면 그 경쟁력이 대단할 것”이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81건의 관련기사 더보기

배너

배너